K-IFRS와 K-GAAP는 한국의 회계 원칙과 표준을 나타내지만 적용 범위, 세부 규정, 비용, 법적 근거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기업은 자체적인 상황과 요구에 따라 어느 표준을 채택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 공 통 점 ]
1.목적: K-IFRS와 K-GAAP는 모두 회계정보의 투명성, 비교 가능성,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회계 원칙과 표준을 제공합니다.
2.재무보고: 두 표준은 기업의 재무상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 등 재무보고서 작성 방법을 규정합니다.
3.기업 유형: K-IFRS와 K-GAAP는 모든 기업에 적용됩니다. 그러나 일부 큰 기업은 K-IFRS를 사용해야 하며, 다른 기업은 K-GAAP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4.국제적 호환성: K-IFRS는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사용되는 IFRS와 많은 부분을 공유하며, 국제 회계 표준과의 일치성을 유지합니다. 반면에, K-GAAP는 주로 국내 기업들을 위해 개발된 표준입니다.;
[ 차 이 점 ]
1.채택 범위: K-IFRS는 코스피(KOSPI) 시장에 상장된 큰 기업과 일부 비상장 기업에 의무적으로 적용됩니다. K-GAAP는 그 외의 기업에 적용됩니다.
2.세부 규정: K-IFRS는 보다 원칙 중심의 접근을 취하고 있으며, 재무보고서 작성 시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K-GAAP는 보다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규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3.비용: K-IFRS의 도입 및 준수는 비용이 높을 수 있습니다. 큰 기업이 채택해야 하는 K-IFRS에는 복잡한 규정과 보고 요구사항이 있을 수 있습니다. K-GAAP는 비용 면에서 상대적으로 저렴할 수 있습니다.
4.법적 근거: K-IFRS는 한국 금융감독원(FSS)의 규정으로 정확하게 시행됩니다. K-GAAP는 한국 회계기준감시회의(KASB)가 발표하는 기준으로 제정됩니다. 이는 K-GAAP가 국내 법적 근거를 갖고 있는 반면, K-IFRS는 국내 법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5.세부규정의 차이: K-IFRS와 K-GAAP는 일부 세부규정에서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재무보고서 작성 시 차별화된 재무적 항목, 표시 및 측정 방법, 재무보고서 양식 등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회계처리 및 재무정보의 표현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 K-IFRS
K-IFRS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IFRS(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를 한국의 국내 환경과 규제에 맞게 번역 및 수정하여 적용한 것입니다. 따라서 K-IFRS는 국제적인 비교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해외 투자자와의 금융정보 제공 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K-IFRS(Korea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의 목차
1.전문
2.적요
3.K-IFRS 1 제 1장 제1조 ~ 제5조 - 일반적인 회계원칙과 적용범위
4.K-IFRS 2 제 1장 제1조 ~ 제6조 - 임금비용
5.K-IFRS 3 제 1장 제1조 ~ 제8조 - 합병 및 종업원 혜택
6.K-IFRS 4 제 1장 제1조 ~ 제5조 - 보험계약
7.K-IFRS 5 제 1장 제1조 ~ 제8조 - 비용처분, 계약부채 및 이월수익
8.K-IFRS 6 제 1장 제1조 ~ 제7조 - 광물자원
9.K-IFRS 7 제 1장 제1조 ~ 제39조 - 금융 기관에 관한 재무보고
10.K-IFRS 8 제 1장 제1조 ~ 제30조 - 영업영리성에 관한 세분화된 재무정보
11.K-IFRS 9 제 1장 제1조 ~ 제13조 -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및 적자전이 및 차입비용 회계 처리
12.K-IFRS 10 제 1장 제1조 ~ 제34조 - 합병계정, 연결 재무제표 및 비지배지분
13.K-IFRS 11 제 1장 제1조 ~ 제20조 - 공동기업
14.K-IFRS 12 제 1장 제1조 ~ 제15조 - 전문적인 주관성 및 공개조치를 필요로 하는 항목
15.K-IFRS 13 제 1장 제1조 ~ 제17조 - 재무상황평가
16.K-IFRS 14 제 1장 제1조 ~ 제28조 - 규제면제
17.K-IFRS 15 제 1장 제1조 ~ 제129조 - 수익회계
18.K-IFRS 16 제 1장 제1조 ~ 제103조 - 임대계약
19.K-IFRS 17 제 1장 제1조 ~ 제112조 - 보험계약
20.K-IFRS 18 제 1장 제1조 ~ 제47조 - 수익
21.K-IFRS 19 제 1장 제1조 ~ 제27조 - 혜택
22.K-IFRS 20 제 1장 제1조 ~ 제59조 - 회계계산 및 재무제표 감사와 연계된 회계정책, 회계추정
23.K-IFRS 21 제 1장 제1조 ~ 제56조 - 외환
K-IFRS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회계기준 목록 : 한국회계기준원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회계기준원
www.kasb.or.kr
2. K-GAAP
K-GAAP은 한국 회계원칙(Korean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을 기반으로 한 기업회계기준으로, 국내 기업에게 적용됩니다. K-GAAP은 K-IFRS에 비해 국내 환경과 규제를 보다 잘 반영하고 있으며, 일부 항목에서 K-IFRS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K-GAAP의 목차
1.종합적 재무상태표
2.종합손익계산서
3.자본변동표
4.현금흐름표
5.자산
6.부채
7.자본
8.손익계산서에서의 수익
9.손익계산서에서의 비용
10.비용에 따른 손실인식
11.판매비와 일반관리비
12.금융비용
13.수익발생비용
14.영업수익
15.영업외수익
16.영업비용
17.영업외비용
18.이익잉여금의 적용
19.이익잉여금의 분배
20.기타자본
21.자본변동표 기타사항
22.이익잉여금
23.현금흐름표의 내용
24.회계감사의 범위 및 절차
25.중간감사의 범위 및 절차
26.재무제표의 작성 방법
27.회계정책 변경 및 오류 정정
28.자본금의 취득 및 처분
29.주식보상비용
30.비영리단체와의 계약금지 준수사항
31.단순결합회사와 포괄결합회사
32.재무제표 통합법
33.비조합사의 조인트벤처와 관련된 재무제표의 작성 방법
34.재무상태표 및 손익계산서의 회계기준에 대한 부가설명
35.자본의 성질
36.계정과목과 계정항목에 대한 부가설명
37.적립금 및 이익잉여금 처리방법에 대한 부가설명
38.이익잉여금 분배에 대한 부가설명 39.자본변동표 작성방법에 대한 부가설명
40.영업현금흐름표 작성방법에 대한 부가설명
41.단순결합회사의 연결재무제표 작성방법에 대한 부가설명
42.비영리법인 및 비영리단체의 재무제표 작성방법에 대한 부가설명
43.투자자본변동표 작성방법에 대한 부가
44.자본금과 이익잉여금의 분류 및 취급 방법
45.계정과목의 분류 및 내용
46.계정과목별 재무상태표 및 손익계산서 작성방법
47.계정과목별 기말잔액의 확인
48.회계원리에 따른 계정과목별 자산취득비용의 취급
49.부채계정의 취급
50.자본금과 이익잉여금의 취급
51.재무상태표의 작성
52.재무상태표 작성시 고려사항
53.재무상태표의 개념과 요소
54.손익계산서 작성시 고려사항
55.손익계산서의 개념과 요소
56.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 작성 시 참고사항
57.영업수익 및 비용의 인식 시점
58.세금의 인식 시점
59.퇴직급여 부채의 인식 시점 및 산출방법
60.재무제표의 작성과 변경에 따른 회계처리 방법
K-GAAP (일반기업회계기준)
회계기준 목록 : 한국회계기준원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회계기준원
www.kasb.or.kr
'회계,세무 > 전산세무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산세무회계 시험 과목과 출제 범위 (0) | 2023.04.20 |
---|---|
세무사 사무소 신규직원 교육 교재 (0) | 2023.04.17 |
전산세무1,2급 & 전산회계1,2급 (시험일정 2023년도) (0) | 2023.04.15 |